‘똥 이야기’에 빠져들게 하는 방법 [비장의 무비]

investing : 1858년 늦여름. 처마 밑에서 비를 긋는 두 남자. 폐지를 한 바구니 안고 선 청년 추지(간 이치로)에게 야스케(이케마쓰 소스케)가 깐족댄다. “그거 팔면 얼마나 쳐줘? 얼마 벌지도 못하겠네.” 약이 올라 되묻는 추지. “그러는 넌. 그거 팔면 얼마나 받는데?” “종이 따위론 돈이 안 되는구나?” 씨익 웃으며 넌지시 속을 떠보는 야스케. “내 동료가 그만뒀는데 말이지….”

카지노 : 이어지는 장면. 한적한 시골 오솔길. 야스케가 끄는 수레를 추지가 밀고 있다. 폐지 장수 그만두고 야스케의 동료가 되었다. 바람이 불 때마다 잔뜩 얼굴을 찌푸린다. 고약한 냄새 때문에 숨도 제대로 쉬지 못한다. 수레에 가득 실려 있는 것. 그들이 도시에서 가져다 시골에 되파는 것. 똥. 사람의 똥.

“관객이 즐겁게 웃으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환경문제를 접할 수 있게” 영화를 만들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다양한 시간대 속에서 ‘좋은 날’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영화로 담아” 후세에 전하는, 일명 ‘좋은 날 프로젝트’의 첫 작품이 될 거라고 했다. ‘지속 가능한 세계’와 ‘순환경제’라는 개념을 영화로 꼭 표현해달라는 프로듀서에게 감독은 똥 이야기를 꺼냈다. 에도시대(1603~1868) 분뇨업자 이야기를 해보겠다고 말했다.

모든 게 부족했던 그때는 배설물도 자원이었다. 도시의 똥이 야스케와 추지 같은 사람들의 지게와 수레와 배에 실려 시골에 거름으로 팔렸다. 그걸 밭에 뿌려 농작물을 길러 다시 사람을 먹여 살리는 사회. 역사에 기록된 완벽한 순환경제의 표본. 문제는, 똥을 보러 극장에 올 관객은 없다는 것. ‘보면 좋을’ 이야기는 맞지만 ‘보고 싶은’ 이야기는 아니라는 것. 방법이 없을까? ‘관객이 즐겁게 웃으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 똥 이야기에 빠져들 방법이?

봄이었다. 순환하는 계절의 봄. 약동하는 인생의 봄. 그러니까, 청춘(靑春). 그걸 제대로만 그려낸다면 관객은 똥지게가 엎어져도 꽃향기를 맡게 될 것이다. 밑바닥 인생을 사는 맨발의 청춘을 진심으로 응원하게 될 것이다. 그게 원래 영화가 하는 일이다. ‘도저히 할 수 없을 것 같던 이야기’를 ‘도무지 잊혀지지 않는 이야기’로 기어이 만들어내는 일. 〈오키쿠와 세계〉에서 사카모토 준지 감독이 해낸 것처럼.

그래서 다시 1858년 늦여름. 두 남자가 비를 긋는 장면. 아까 얘기 안 했는데 사실 그 처마 밑에 한 사람이 더 있었다. 뒤늦게 비를 피해 달려온 오키쿠(구로키 하루). 두 청년 사이에 어정쩡하게 서 있던, 몰락한 사무라이 가문의 딸. 도시의 공동주택에 살고 있어서 추지를 다시 만날 일이 생긴다. 세입자가 많아 금세 똥이 차는 곳이어서 추지와 더 자주 마주치는 사람이 된다. 집이 가난해진 덕분에(?) 찾아온 인연이었다. 가진 게 없어서 늘 초라한 삶이었는데 남몰래 연모하는 마음을 갖게 되어 비로소 든든해진 오키쿠였다.

두근두근. 콩닥콩닥. 우물쭈물. 성큼성큼. 그렇게 봄이 오는 이야기. 마음껏 청춘을 살아내는 세 사람. 흑백영화인데 세상의 모든 색깔을 품고 있다. 이 영화로 나의 겨울은 미리 봄이 되었다.기자명김세윤 (영화 칼럼니스트)다른기사 보기 [email protected]#오키쿠와 세계#사카모토 준지#똥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사

아들이 기록한 아버지의 마지막 연주 [비장의 무비]아들이 기록한 아버지의 마지막 연주 [비장의 무비]김세윤 (영화 칼럼니스트)

2020년 12월4일. 건강검진을 받았다. 암이 간에 전이되었다고 했다. 일주일 뒤 12월11일. 재검사를 했다. 의사가 말했다. “이대로 두면 앞으로 남은 시간은 6개월 정도입니…

‘높이’ 대신 ‘멀리’, 청춘의 비행 [비장의 무비]‘높이’ 대신 ‘멀리’, 청춘의 비행 [비장의 무비]김세윤 (영화 칼럼니스트)

영화 〈빌리 엘리어트〉(2001)의 마지막 장면. 평생 자신을 뒷바라지한 아버지 앞에서 빌리가 힘껏 날아오른다. 한 마리 새처럼 멋진 자세로 하늘 높이 솟구친다. 그 아름다운 비상…

노인 혐오의 시대 한줄기 햇살 같은 영화 [비장의 무비]노인 혐오의 시대 한줄기 햇살 같은 영화 [비장의 무비]김세윤 (영화 칼럼니스트)

평화롭게 피아노 연주곡이 흐르는 노인요양원 복도에 한 청년이 나타난다. 총을 든 손과 팔에 핏자국이 보이고 그가 지나온 복도 끝에 휠체어가 넘어져 바퀴만 빙글빙글 돌고 있다. 창가…

두고두고 곱씹는 ‘마지막 2분’의 시간 [비장의 무비]두고두고 곱씹는 ‘마지막 2분’의 시간 [비장의 무비]김세윤 (영화 칼럼니스트)

“나영이가 해성이를 좋아한다고 그러더라고요. 저희 이제 이민 가거든요. 그래서 가기 전에 좋은 기억을 만들어주고 싶어서요.” 저 멀리 아이들이 웃고 떠드는 걸 보며 나영이 엄마가 …

〈로봇 드림〉, 내 옆에 없는 그에게 보내는 러브레터 [비장의 무비]〈로봇 드림〉, 내 옆에 없는 그에게 보내는 러브레터 [비장의 무비]김세윤 (영화 칼럼니스트)

외로웠다. 밥을 먹어도 외로웠고 TV를 봐도 외로웠고 게임을 해도 외로웠다. 하품은 전염된다는데 덩달아 하품하는 친구가 곁에 없는 것도 참 외로웠다. 소파에 혼자 앉은 자기 모습이…

‘마술적 리얼리즘’ 하면 이 영화감독을 떠올리리 [비장의 무비]‘마술적 리얼리즘’ 하면 이 영화감독을 떠올리리 [비장의 무비]김세윤 (영화 칼럼니스트)

영화 〈행복한 라짜로〉(2018)를 만들 때 이야기. 투자자들이 알리체 로르바케르 감독에게 물었단다. 그래서 영화가 끝날 때쯤 주인공에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느냐고. 주인공이 ‘특별…

최신호

최신호 기사 본문은
정기 구독자만 보실 수 있습니다.